목록모각윙 (6)
개발자라면 한번쯤은 보러오는 곳

Last Dance 마지막 모각윙. 앞으로 윙커톤을 어떻게 개발하고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회의를 했다. 로그인 개발 JWT를 이용해 토큰 로그인을 하는 Spring + Kotlin 을 구현했다. Postman으로 login을 확인해봤을때 토큰이 request되는모습을 볼 수 있다. Controller Code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users") class AuthController(private val userService: UserService) { @PostMapping("signup") fun singup(@RequestBody body: SignupDTO): ResponseEntity { val user = User() user.email = body...

Spring.. Spring 과 Kotlin 모두 처음 사용하기 때문에 우선 인프런에서 볼 수있는 무료 김영한의 스프링 입문 영상을 보았다. 스프링이 어떤 것인지 가늠을 잡고 코딩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낯설었다. 객체지향적 설계와 왜 쓰는지 모르겠는 어노테이션들... 여러 코드들을 따라 치보다 보니 어느정도 익숙해졌다. 우선 백앤드의 가장 기본 CRUD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공부하고 차근차근 코딩을 할 예정이다. API CALL URI는 동사보다는 명사를,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마지막에 슬래시 (/)를 포함하지 않는다. 언더바 대신 하이폰을 사용한다. 파일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행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API CALL 규칙들을 정해놓고 API CALL 명세..

Spring 도전...! 시험이 끝나고 기말고사 전까지 기획을 마무리하고 개발을 시작 하기 위해 회의를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백앤드 쪽에서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다. 바로 프레임워크를 Django에서 Spring Boot로 바꾼것. 백앤드 개발자들이 모두 프로젝트를 해본 Django 를 하지 않고 Spring Boot로 도전을 한 이유는 이번 인턴을 지원하면서 대부분의 회사가 원하는 기술 스택이 Spring이 대부분이었고 Django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아무리 Django를 잘하고, 프로젝트가 많다고 하더라도 Django를 잘하는 사람을 뽑는 회사는 없었다. 이러한 현실의 벽을 마주치고 프레임 워크를 바꾸기로 하였다. 백앤드 개발자 모두 Spring을 배우고 싶어했지만 평소에는 시간이 없고, 프로젝트를..

다음주가 시험인 관계로 모각윙 3주차는 저번주 과제에 대해서만 회의를 하고 개인 공부를 하였다. 내가 소속되어 있는 백앤드의 과제는 - 백앤드 API 조사 서울 아동급카드 현황 네이버 리뷰 GET 영수증 인증 가능한가...? 아동급식카드 인증 1. API 조사 https://www.data.go.kr/data/15034530/openapi.do 전국아동복지급식정보표준데이터 공공데이터 제공 표준데이터 속성정보(허용값, 표현형식/단위 등)는 [공공데이터 제공 표준] 전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공공데이터포털>정보공유>자료실) 각 기관에서 등록한 표준데이터를 www.data.go.kr 전국아동복지급식정보표준데이터와 https://www.data.go.kr/data/15043048/fileData.do 서울특별..

기획 시작 저번주 모각윙 모임에서는 주제와 팀 프로젝트 이름을 정했다. 주제 : 아동급식카드 가맹점 서비스 이름 : DreamForest 이번주는 프로젝트 기획명세서를 어느정도 끝내고 디자인을 시작하려고 했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프론트에 배정이 되었고, 팀원들이 모두 React밖에 배워보지 않았기 때문에 웹 밖에 만들수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기획 단계에서 우리 아이디어는 유저 접근성 면에서, 사용성 면에서 웹 보다는 앱이 낫다고 판단하였다. 때문에 앱을 한번도 다루어 보지 않은 프론트 팀 입장에서는 굉장히 난처 했었다. 학기중에 새로운 기술을 공부하고 바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은 일정 상 무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좋은 수가 없을까 고민을 하던중 백앤드로 배정되었던 팀원이 앱을 다루어 ..

2022년 2학기 윙크 팀 프로젝트 '윙커톤'을 위한 팀이 만들어 졌고 효율적인 팀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에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 문화를 응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스터디 소그룹(모각코/모각공)이 있어 모각윙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 '윙커톤'의 주제는 UN-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중 2가지 이상의 주제를 다루는 서비스를 개발 하는 것 이었다. 첫 모임이기 때문에 주제 정하기, 개발 파트 분배등 기획을 먼저 하기로 했다. 주제 정하기 UN-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중 2가지 이상의 주제를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주제 정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때문에 브레인 스토밍을 하며 많은 주제들을 후보에 올려놓았고 약 8가지의 주제가 후보에 올랐다. K-아나바다 환경 영향 평가..